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|||||
3 | 4 | 5 | 6 | 7 | 8 | 9 |
10 | 11 | 12 | 13 | 14 | 15 | 16 |
17 | 18 | 19 | 20 | 21 | 22 | 23 |
24 | 25 | 26 | 27 | 28 | 29 | 30 |
31 |
- 규칙찾기
- 조합
- 반복문
- 쿼드압축 후 개수세기
- pandas
- 프로그래머스
- 동적계획법
- Dynamic Programming
- 최소공배수
- 문자열
- HashMap
- python
- Stack
- 후위 표기법
- 튜플
- 완전탐색
- 순열
- 영문자 확인
- dfs
- 완전 탐색
- 어려웠던 문제
- fragment identifier
- 메뉴리뉴얼
- 보이어무어
- 알고리즘
- Java
- 에라토스테네스의 체
- 2017 카카오 코드
- HashSet
- 점프와 순간이동
- Today
- Total
목록Programming Language/Java (3)
csmoon1010의 SW 블로그
※ SWEA의 String 강의를 듣고 정리한 내용 swexpertacademy.com/main/learn/course/lectureVideoPlayer.do SW Expert Academy SW 프로그래밍 역량 강화에 도움이 되는 다양한 학습 컨텐츠를 확인하세요! swexpertacademy.com 1. 분류 (1) 고정 길이(Fixed length) : 문자열의 길이가 고정된 경우 (2) 가변 길이(Variable length) : 문자열의 길이가 고정되지 않음 - 길이 조절(Length controlled) - Java의 String - 구분자(Delimited) - C언어의 String 2. Java String 클래스의 메모리 배치(Java.lang.String) : 기본적인 객체 메타 데이터 ..
상황에 맞게 접근지정자와 static,final을 지정하여 변수를 관리해야 한다. 헷갈리는 개념 마지막으로 정리해보기로 한다. 명품 JAVA Programming 개정4판을 참조하였다. [접근 지정자(access specifier)] - 필요 이유 : 객체를 캡슐화하기 때문에 다른 객체의 접근을 허용할지, 말지를 지정해야 됨. - 패키지(package) : 서로 관련 있는 클래스 파일들을 저장하여 관리하는 디렉터리/폴더 1. 클래스 접근 지정 (1) public 클래스 : 패키지에 상관없이 다른 어떤 class에게도 사용이 허용(이 class를 선언, 생성) public class World{ ... } (2) default 클래스 : 같은 패키지 내의 클래스들에게만 사용이 허용 class Local{ ..

코딩테스트 문제를 풀다보면 배열 구조를 사용하는 것은 거의 필수적이다. 그런데 가끔 상황에 맞는 배열의 생성 및 선언 방식이나 필드 정보가 생각나지 않을 때가 있다. 이번에 마지막으로 정리하고 제대로 기억하도록 하자!!! 과거에 공부했던 '명품 JAVA 프로그래밍 개정4판'을 참고하였다. 1. 배열(array)이란? : 인덱스(index)와 인덱스에 대응하는 같은 종류의 데이터들이 순차적으로 저장되는 자료 구조 - 데이터들을 따로 관리할 때보다 관리가 쉽다.(같은 이름으로 관리할 수 있음) - 인덱스를 통해 반복문(for, while)을 활용하기 쉽다. 2. 선언 및 생성 (1) 배열에 대한 레퍼런스 변수 선언 후 생성 ① 배열에 대한 레퍼런스 변수 선언 : 크기는 함께 선언할 수 없다. 생성시 선언!!..